Today I Learned
-
TIL 20.05.22Today I Learned 2020. 5. 22. 23:46
유효성 검사 예제를 통해 DOM을 맛보았다. 자바스크립트와 HTML이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는 아름다운 이야기......이다. 그리고 목업으로만 만들어둔 twittler페이지가 실제로 작동하도록 js파일을 연결해서 함수를 짜보았다. 처음이라 아주 간단한 기능을 구현하는데도 한참 헤멨다. 노트북이 열 받고 팬이 돌아가는 것처럼 나도 열받고 물을 마시고... (세상만물이 뭔가 애를 쓰면 열이 나나보다...)아무튼, 한참 헤메다 내가 원하는 것들이 구현되니 정말 기뻤다! 오늘의 코딩일기 끝.
-
TIL 20.05.21Today I Learned 2020. 5. 21. 22:34
블로그 이름을 부트캠프 생존일기로 바꿔야할까보다... 어제, 오늘 총 2일간 html, css, dom을 다뤘다. 이게 이틀만에 할 수 있는 공부가 아닌게 분명한데, 코스에서 요구하는 지금 단계에서의 수준은 '어쨌든 당장 필요한 것만이라도 알아내서 써먹어보는 것'이니... 구글링과 강의시청 등등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 따라가려고 하고 있다.(따라가고 있는거 맞나?) 그래서 오늘은 페어와 함께 html, css를 활용해서 트위터와 비슷한 '트위틀러' 페이지를 꾸며봤다. 일단 기능은 생각 안하고 목업(실물모형)을 구현하는 과제였다. 어찌어찌 코드를 우겨넣어서라도 눈에 보이는 웹페이지를 보고 있자니, 비록 아름다운 코드는 아니라도 나름 뿌듯했다. 프론트엔드는 잘만 하면 정말 재밌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TIL 20.05.14Today I Learned 2020. 5. 14. 22:26
오늘은 git 에 대해 배웠다. 기억에 남는 git에 대한 설명은, '버전 관리 시스템' 이라는 것이다. 여러 개발자가 하나의 프로젝트를 가지고 협업할 때, 수정 사항이 있을 때 마다 버전을 다르게 해서 소스 코드를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이라고 이해했다. 그리고 '터미널'을 사용하는 방법도 배웠다. CLI(Command Line Interface) 라는데, 지금이야 컴퓨터 관련 일을 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밖에 쓸 일이 없지만, 옛날엔 CLI가 주류였다고 한다. 그리고 지금도 관련 업계에서는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 과제를 수행해서 github를 통해 제출하는 것 까지 해봤다. github에 내 계정으로 처음 뭔가를 올린? 의미있는 하루였다.
-
TIL 20.05.13Today I Learned 2020. 5. 13. 22:12
오늘은 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를 풀었다. 페어 프로그래밍 시간이 7시간이나 배정되있었는데, 빨리 끝나서 잠깐 쉬고 풀었던 문제들을 다시 풀어보았다. 주로 수학과 관련된 문제에서 고전했던 것 같다. 코딩 중 뭔가 애매하다고 느껴질 때마다 내가 짠 로직에 임의의 값을 넣어보면서 로직이 제대로 돌아갈 것인지 예상해 보고, 콘솔 창에서 실험도 해보았다. 그렇게 중간중간 테스트를 거치면서 로직을 보충해나가다 보니 문제가 해결됐다. 문제를 풀면서 내가 배웠던 개념들이 아직 숙지가 되지 않아서 여러 번 구글링을 해야 했다. 이런 과정을 앞으로도 계속하게 될 것 같다.
-
TIL 20.05.12Today I Learned 2020. 5. 12. 22:38
오늘 공식일정은 레슨 2시간, 페어 프로그래밍 6시간이었다. 물론 비공식 일정으로 복습과 블로깅 시간이 있었지만... 아직까지는 할만하다. 재밌다는 생각도 드는데... 이 마음이 계속 가면 좋겠다. 무튼 오늘 배운 내용은 알아보기 쉬운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과 재귀함수다. 재귀함수는 맛만 본 수준인데, 내일 알고리즘 문제를 풀면서 조금 더 사용법을 익히고, 블로깅으로 내용을 정리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그리고 알고리즘 문제를 풀면서 for문과 while문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고, 숫자를 다루는 여러 메서드들을 사용해볼 수 있었다. 내일은 7시간 동안 페어 프로그래밍을 해야 한다. 일찍 자자...
-
TIL 20.05.11Today I Learned 2020. 5. 11. 22:36
배열로 함수형 프로그래밍하기, 즉 forEach(), map(), filter(), reduce()에 대해 배웠다. 그리고 강의 때 나왔던 문자열과 관련된 메소드들을 정리해서 블로깅 했다. 문제 풀 때마다 '아 이거 메소드 그거 쓰면 되는데... 어떻게 쓰더라...?' 싶었는데, 한번 싹 정리하고 나니 속이 시원하다. 어휴... 그리고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 조금 고전했는데, 이제 좀 정리가 된 것 같다. 블로깅한 것 여러 번 보면서, 문제 풀면서 완전히 내 것으로 만들어야겠다.
-
TIL 20.05.08Today I Learned 2020. 5. 8. 23:26
객체와 배열에 대해 배웠다. 객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메소드, 배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메소드들을 배우고 연습해봤다. 또 문자열과 관련된 메소드들도 익혔다. mutable 과 immutable 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는데, 모든 문자열은 immutable 하다. 하지만 배열 메소드는 mutable 한 것도 있고, immutable 한 것도 있기 때문에 잘 구분해야 한다. 오늘 함께한 페어 짝이 반복문이 아직 숙지가 안되서 나름대로 열심히 설명해드렸는데, 어떻게 하면 좀 더 쉽게 설명할 수 있을지 고민해봐야겠다. 나도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설명하다보니 완벽하게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정도는 아니었다. 쉽게 설명할 수 있으려면 확실히 꿰고 있어야겠지... 주말동안 고민해보고 또 이번주에 배웠던 것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