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L : Math.floor(), String()Today I Learned 2020. 5. 5. 20:25
Math.floor( ) 함수 주어진 숫자와 같거나 작은 정수 중에서 가장 큰 수를 반환한다. console.log(Math.floor(10.123)); // 10 String( ) 함수 w3schools.com 에서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convert different objects to string"(다른 객체를 문자열로 전환) 숫자를 문자열로 바꾸기 위해 사용했는데, 숫자가 아닌 다른 타입도 문자열로 변환이 가능한가보다. String(12233); // "12233" String(true); // "true" let x1 = 123; let x2 = x1 + 10; // x2 === 133 let x3 = String(x1) + 10; // x3 === 12310
-
함수JavaScript 2020. 5. 5. 13:25
프로그래밍에서의 함수는 '컴퓨터에게 일을 시키기 위한 지시사항의 묶음'이라 할 수 있다. 함수는 입력 > 함수 > 출력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를 사용하고 싶으면 함수 이름과 입력(input)을 이용하면 된다. let length = getLength("대한민국") // 함수 getLength에 input값으로 "대한민국"을 줌. console.log(length); // 변수 length에 담긴 값은 함수를 실행한 결과, 여기서는 4가 된다. (getLength는 값의 길이를 구하는 함수) 함수를 선언하는 방법 : 함수 선언식 , 함수 표현식 //함수 선언식 function myFunction(input){ // 컴퓨터에게 시킬 일 } //함수 표현식 let myFunction ..
-
조건문JavaScript 2020. 5. 5. 12:57
조건문, 어떤 조건을 판별하는 기준을 만드는 것. - 성인인지 아닌지 판별하는 기준은 '20세를 넘는지, 그렇지 않은지' - 학생인지 아닌지 판별하는 기준은 '학교를 다니는지' 조건문의 문법 if (조건1) { // 조건1이 true일 경우 지시할 내용 } else if (조건2) { // 조건1이 false이고, 조건2가 true일 경우 지시할 내용 } else { // 모든 조건이 false일때 지시할 내용 } 조건문은 비교 연산자가 필요하다, 비교의 결과는 늘 boolean값, 즉 true 또는 false이다. 비교 연산자 : > , =,
-
변수와 타입JavaScript 2020. 5. 5. 12:44
변수(variable),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값. 이름(label)이 붙은 값. let myName; // myName이라는 변수를 선언하고 값은 할당하지 않은 상태. myName = 'JinSoo' // 변수 myName에 'JinSoo'라는 값을 할당. 표현식에서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let pi = 3.141592; pi * 7 * 7 // pi라는 변수에 값을 할당한 뒤 2번줄 표현식에서는 3.141592대신 변수 pi를 사용해 반지름이 7인 원의 넓이를 구하는 식을 표현했다. 변수에는 다양한 타입이 있다. - 숫자, 문자열, boolean(true / false) - 배열, 객체(위 타입들이 서로 섞여있음, "자료형"이라고 한다) - undefiend 도 타입, 정의되지 않았다는 뜻 ..